‘정서’라는 단어를 들으면 보통 감정이나 느낌을 떠올리지만, 사실 정서는 다양한 뜻을 가진 다의어입니다. 같은 발음을 가지고 있지만 서로 다른 의미로 쓰이는 단어들을 ‘동음이의어’라고 하죠. 오늘은 ‘정서’의 여러 가지 뜻을 살펴보고, 각각의 의미에 맞는 예문과 파생어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정서의 다양한 뜻
정서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습니다.
1) 정서(正書)
‘글씨를 흘려 쓰지 않고 또박또박 바르게 씀’ 또는 ‘그렇게 쓴 글씨’를 의미합니다. 또한, 처음에 썼던 글을 베껴 다시 쓰는 의미도 있습니다. 정확한 기록과 명확한 전달을 위해 중요한 개념이며, 공적인 문서나 시험지에서도 요구되는 글쓰기 방식이죠.
예문:
- 학생들은 시험 답안을 정서(正書)로 작성해야 한다.
- 그는 오래된 문서를 정서(正書)하여 후대에 남겼다.
- 서기관이 왕의 명령을 정서(正書)하여 공식 문서로 만들었다.
파생어:
- 정서법(正書法): 글자를 올바르게 쓰는 법칙
- 정서하다(正書하다): 글씨를 바르게 쓰다
- 정서체(正書體): 또박또박 쓰는 글씨체
- 정서본(正書本): 베껴 다시 쓴 원고
2) 정서(淨書)
‘글씨를 깨끗하고 정갈하게 씀’이라는 뜻으로, 정서(正書)와 유사하지만 좀 더 깔끔한 필체에 초점을 둡니다.
예문:
- 그는 중요한 계약서를 정서(淨書)하여 제출했다.
- 공문서는 정서(淨書)로 작성해야 신뢰를 얻을 수 있다.
3) 정서(情緖)
감정이나 느낌을 뜻하는 말로, ‘정서적 안정’, ‘정서를 다스리다’ 등의 표현에서 사용됩니다.
예문:
- 여행은 사람의 정서(情緖)를 풍부하게 만들어 준다.
- 그녀는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도 안정적인 정서(情緖)를 유지했다.
파생어:
- 정서적(情緖的): 감정과 관련된
- 정서불안(情緖不安): 감정이 안정되지 못한 상태
4) 정서(政書)
정치와 관련된 문서를 의미합니다. 과거 조정에서 왕이나 대신들이 정치를 기록한 문서들이 이에 해당합니다.
예문:
- 조선 시대의 정서(政書)는 당시 정치 체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다.
- 그는 정서(政書)를 통해 고대 국가들의 정책을 연구했다.
5) 정서(精書)
정성스럽게 쓴 글을 의미합니다. 단순한 필체뿐만 아니라 정성을 다해 작성한 문서에도 쓰일 수 있어요.
예문:
- 그녀는 부모님께 보내는 편지를 정서(精書)로 작성했다.
- 공모전 출품작은 정서(精書)로 완성해야 심사위원들에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다.
6) 정서(征西)
‘서쪽 지역을 정벌함’이라는 뜻입니다. 역사적 맥락에서 군사 작전과 관련된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예문:
- 장군은 대군을 이끌고 정서(征西) 원정을 떠났다.
- 그는 정서(征西)에서 승리를 거두며 전쟁의 판도를 바꿨다.
7) 정서(定書)
‘문서를 정리하여 작성함’을 뜻하는 말로, 공식적인 문서나 계약서를 정리할 때 쓰입니다.
예문:
- 법적 효력을 가지려면 정서(定書)를 정확하게 작성해야 한다.
- 논문을 제출하기 전에 정서(定書) 과정을 거쳐야 한다.
8) 정서(靜書)
‘조용히 글을 씀’이라는 의미로, 소란스럽지 않은 환경에서 차분하게 글을 쓸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문:
- 그는 아침마다 정서(靜書)하며 하루를 시작했다.
- 독서실에서는 정서(靜書)를 하기에 최적의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
2. 문맥에 따라 올바르게 사용하자!
‘정서’라는 단어는 그 의미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문맥에 따라 올바르게 해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정서가 풍부한 사람’이라고 하면 감정을 의미하는 정서(情緖)를 뜻하지만, ‘정서를 지켜야 한다’라고 하면 또박또박 바르게 쓰는 정서(正書)를 뜻할 가능성이 크죠.
앞으로 ‘정서’라는 단어를 볼 때, 어떤 의미인지 한 번 더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
'어학 | Language | 語学 > 국어 | Korean | 韓国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스토피아(Dystopia) 뜻 : 암울한 미래인가, 경고의 메시지인가? (1) | 2025.02.25 |
---|---|
시그마보이(Sigma Boy) 뜻과 캐릭터별 남성을 부르는 말들 (1) | 2025.02.24 |
섬망이란 무엇인가? 착각과 혼란을 일으키는 병의 실체 (3) | 2025.02.22 |
쇠로 시작하는 단어들: 금속(金) vs 쇠퇴(衰) vs 순우리말 (1) | 2025.02.19 |
끼로 시작하는 단어, 뭐가 있을까? (1)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