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학 | Language | 語学/국어 | Korean | 韓国語

사생아 뜻과 외국어 표현 – 어떻게 다르게 부를까?

WanderLex 2025. 3. 7. 10:53
728x90
반응형
SMALL

1. 사생아란?

‘사생아’라는 단어를 들어본 적 있나요? 예전에는 흔히 쓰였지만, 오늘날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표현이에요. 과거에는 혼인 관계 밖에서 태어난 아이를 가리키는 말이었지만, 이제는 다양한 가족 형태가 인정되면서 이런 단어도 점점 사라지고 있어요. 그렇다면 ‘사생아’라는 단어의 정확한 뜻과 관련 어휘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외국에서는 어떻게 표현할까요? 함께 알아봐요!

2. 사생아의 의미

‘사생아(私生兒)’는 혼인 관계 밖에서 태어난 아이를 의미하는 단어예요. 한자를 풀어보면 ‘사(私, 사사로울 사)’와 ‘생(生, 날 생)’, ‘아(兒, 아이 아)’로 이루어져 있어요. 즉, ‘사적으로 태어난 아이’라는 뜻이죠.

예전에는 혼인 외 출생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강해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어요. 하지만 현대에는 가족 형태가 다양해지면서 이런 표현이 점점 사라지고, 보다 중립적인 표현이 사용되고 있어요.

3. 사생아 관련 어휘

사생아와 비슷하거나 연관된 단어들도 있어요.

  • 혼외자(婚外子): 혼인 관계 밖에서 태어난 자녀. ‘사생아’보다 중립적인 표현이에요.
  • 서자(庶子): 본처가 아닌 여인에게서 태어난 자식. 조선 시대 신분제에서 많이 쓰였어요.
  • 적자(嫡子): 본처에게서 태어난 정식 자식.
  • 서얼(庶孼): 서자와 비슷한 뜻이지만, 조금 더 넓은 의미로 쓰여요.

4. 외국에서는 어떻게 표현할까?

각 나라에서도 혼인 관계 밖에서 태어난 아이를 지칭하는 다양한 표현이 있어요.

영어

  • Illegitimate child: ‘사생아’의 가장 일반적인 번역이에요. 하지만 ‘illegitimate(불법의, 부적절한)’이라는 단어가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지기 때문에 현대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아요.
  • Born out of wedlock: ‘혼외에서 태어난’이라는 뜻으로, 중립적인 표현이에요.
  • Non-marital child: 좀 더 공식적인 표현으로 쓰여요.

프랑스어

  • Enfant illégitime: 영어의 ‘illegitimate child’와 같은 표현이지만, 요즘은 잘 안 쓰여요.
  • Enfant né hors mariage: ‘혼인 밖에서 태어난 아이’라는 의미로, 좀 더 중립적이에요.

중국어

  • 私生子 (sīshēngzǐ): ‘사생아’와 동일한 표현이지만, 다소 부정적인 느낌이 있어요.
  • 非婚生子女 (fēihūnshēng zǐnǚ): ‘혼인 외 태어난 자녀’라는 뜻으로 중립적인 표현이에요.

일본어

  • 私生児(しせいじ, shiseiji): ‘사생아’와 같은 의미지만, 요즘은 거의 쓰지 않아요.
  • 非嫡出子(ひちゃくしゅつし, hichakushutsushi): 법률적인 용어로 ‘혼인 외 출생자’라는 뜻이에요.

5. 변화하는 사회와 언어

예전에는 혼외 출생에 대한 편견이 강해서 부정적인 단어들이 많았어요. 하지만 요즘은 가족의 형태가 다양해지면서 좀 더 중립적이고 포용적인 표현이 많이 사용되고 있어요. 영어에서도 ‘illegitimate child’ 대신 ‘born out of wedlock’ 같은 표현을 쓰는 것처럼, 한국에서도 ‘혼외자’ 같은 표현이 더 자주 사용되고 있죠.

언어는 사회의 변화를 반영해요. 앞으로는 출생 배경과 관계없이 모든 아이가 존중받는 세상이 되기를 바라며, 관련된 표현들도 점점 바뀌어갈 거예요!

728x90
반응형
LIST